생명공학대학 부속농장 소개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불현길 11-22에 위치한 생명공학대학 부속농장은 학생들의 현장실습과 교수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생명공학대학 소속 생명자원공학부, 식품공학부, 시스템생명공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생 및 교수의 연구 및 현장실습의 교육장으로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속농장의 시설은 착유우사, 육계사, 산란계사, 사양실험실,GMO연구단지 등이 있으며 연구 및 교육지원 인력은 농장장, 차장, 및 상시 직원이 상주하며 효율적인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부속농장의 총면적은 50,000평이며 동물생명공학전공과 관련된 가축 젖소(Holstein종)와 산란계, 육계를 사육하며 2007년 조성된 식물응용과학과의 GMO식물연구 포장은 8,000여 평으로 국내최대 규모이며 농림부로부터 환경위해성평가기관으로 지정되어 잔디, 배추, 고추 등 유전자변형식물에 대하여 환경에 대한 위해성 여부를 국내 대학들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농장장 인사말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부속농장은 생명공학대학 관련 학부 (전공)의 학부 실습 및 연구실 실험의 목적으로 설립된 부속기관으로 학부생들의 농장실습 및 교원들의 실험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비록 타 국립대학 및 사립대학에 비하여 면적 및 시설이 협소하나, 동물생명공학전공의 농장실습이 1년내내 학기 중에 진행되고 있으며, 식물 시스템과학 전공의 GMO 관련 실험 등 국책관련 연구과제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농장 및 안성캠퍼스 부근의 토지에서 생산되는 초지, 옥수수 등의 조사료를 활용하여 약 60여두의 젖소가 최고의 시설에서 최고 등급의 우유를 생산합니다. 2011년 젖소관련 HACCP 기준을 통과하여 최고의 품질관리로 학생들의 실습에 최적의 여건을 제공하고 있으며, 산란계 및 육계 실험을 수행 할 수 있는 시설을 통하여 영양 및 환경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의 유전자변형 작물 (GMO)에 대한 환경 유해성 평가기관으로 지정되어, 국내의 환경에서 GMO 작물의 유해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록 시설, 규모 및 인력 면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이 부속농장을 활용하여 훌륭한 인재들을 교육하고 연구함으로써, 명실공히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명공학대학 부속농장장 교수 길동용
부속농장 연혁
1995
육성우사 395㎡, 퇴비사 125㎡, 사무실 43㎡ 건축
1992
트랜치 사일로126㎥과 산란계사 450㎡을 건축
1987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불현리 산1-1로 이전
총면적은 5만평 젖소 45두,축사 307㎡, 창고 177㎡, 원형 사일로 110㎥, 사무실 157㎡, 관리사 106㎡, 관리사 겸 학생숙소 92㎡
1980
젖소 70두 과수원1만평,사료포 3만평, 답10,000평
1968. 12
경기도 평택시 장당동 산 25-1번지
총면적 5만평 (과수원 3만평, 답 5,000평 사료포 15,000평과 축사 1동(100평 규모) 젖소 20두, 계사 1동 20평)
직원 소개
생명공학대학 부속농장
- 부서 위치: 경기 안성시 보개면 불현길 11-22
- 대표전화 : 031-670-3699
- 업무분장 일람
성명 |
직위 |
연락처 |
업무 |
길*용 |
농장장 |
670-3025 |
부속농장 농장장 |
김*식 |
차장 |
670-3699 |
농장업무총괄 학생 현장실습 및 교수연구지원 |
옥*광 |
직원 |
670-3699 |
축산관리 및 농작물관리 |
최*수 |
직원 |
670-3699 |
축산관리 및 농작물관리 |
설립목적
BT기기센터는 공동기기의 운용을 통하여 본교의 학술연구 발전과 생명공학대학의 BT분야 연구와 안성캠퍼스 교원, 학생의 연구활동 및 학생의 실험 실습과 특정 실험(생명, 식품, 동물, 식물)시설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지원을 설립목적으로 합니다.
위치 및 면적
-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에 위치
- 사무실 : 809관 4204호(10평)
- 연구실 : 809관 4211호, 4212호, 4213호 (3개 호실 85평)
BT기기센터장 인사말
중앙대학교 BT기기센터장 차창준입니다.
항상 많은 관심을 가지고 BT기기센터의발전을 위하여 격려해주시는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BT기기센터는 첨단 분석기기를 분야별로 도입. 설치하여 자연계열 교수연구 및 학생들의 실험실습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1970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중앙대학교는 “CAU2018+” 발전계획 추진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대학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현재의 첨단과학 연구에는 다양한 종류의 첨단 장비가 요구되어 있으며 이에 우리 BT기기센터도 첨단 고가 장비 활용을 연구와 교육지원의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여 최첨단 분석 장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교내의 다양한 분석 장비들의 공동 활용을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급속히 변화화는 연구 환경에 중심적 역활을 담당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BT기기센터는 그동안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자에게 세계적 수준의 연구 인프라 제공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을 약속드리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이용과 성원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중앙대학교 BT기기센터장 차 창 준
BT기기센터장 연혁
2017
직제개편으로 안성캠퍼스 공동기기센터의 부서명이 BT기기센터로 변경, 직제개편으로 안성캠퍼스 BT기기센터가 생명공학대학 소속으로 편제
2016
05월 XPS(X선 광전자 분광기) 도입
2014
직제개편으로 부서명이 공동기기원에서 공동기기센터로 변경, 직제개편으로 연구지원처 소속으로 편제
2011
04월 XRD(Powder, Single Crystal) 2 Set 도입.
02월 서울캠퍼스에 FT-IR 도입
직제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자연공학계열로 편제
2010
05월 서울캠퍼스 공동기기원에 FE-SEM 1Set 도입.
2009
01월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연구지원처 소속으로 편제.
2008
10월 제 2캠퍼스 공동기기원에 Automated Flow Cytometry Sorter 1Set 도입.
2007
12월 제 1캠퍼스 공동기기원에 600MHz-NMR Spectrometer 1Set 도입.분석기기 사용료 유료화 시작
08월 제 1캠퍼스 공동기기원에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 Set 도입.
07월 제 2캠퍼스 공동기기원에 ICP Spectroanalyzer 1 Set 도입.
05월직제규정 개정에 의하여 부서명칭 변경
“기초과학센터 분석팀”에서 “공동기기원 기기분석팀”으로 변경.
부서장 명칭도 “기초과학센터 센터장”에서 “공동기기원 원장”으로 변경
2006
05월 실내공기질측정대행기관 인증(산학협력단,건축학과 공동: 서울특별시)
2005
09월 제 1캠퍼스에 TDS/GC/Mass System 1 Set 도입.(연구지원처자금으로,산학협력단 건축학과 자산)
2004
12월 친환경건축자재인증센터 지정(산학협력단,건축학과 공동: 공기청정협회)
2003
10월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ICP Spectroanalyzer 1 set 도입.
08월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Genetic Analyzer 1 set 도입.
2002
08월 제 11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박순철 교수(생명과학과) 취임.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Amino Acid Analyzer System 1 set 도입.
2001
09월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PLC 1 set 도입.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 방사성동위원소실에 Gamma Counter 1set 외 12종 도입.
04월 제 1캠퍼스 방사성동위원소 실험실 신설(파이퍼홀 3층, 311호실)
02월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자연과학대학 소속에서 부총장 산하기관으로 단독 편제.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Spectrofluorometer 1set 도입.
2000
06월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Texture Analyzer 1set 도입.
1999
04월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igh Resolution GC-Mass Spectrometer 1set 도입.
02월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연구지원처 소속에서 자연과학대학 소속으로 편제.
1998
02월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 UV/VIS Spectrometer 1set 도입.
1997
12월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Storage Phosphor Imaging System 1set 도입.
10월 Ratio Fluorescence Image Analyzer 1set 도입.
05월 Ion Chromatography 1set 도입.
1996
08월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300MHz) 1set 도입.
1995
08월 X-ray Floorescence Analyzer 1set 도입.
04월 자연과학대학 공동기기실에 설치되어 있던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set ,본 부서로 이전 설치되어, 교수 연구활동 지원 및 학 생실험실습에 활용. X-ray Diffractometer 1set 도입.
03월 제 1캠퍼스에 전자물리학 실험실 신설.
02월 신축건물 수림과학관 2층으로 이전.
1994
05월 김명섭 동창회장으로부터 GC-Mass Spectrometer 1 set 기증
03월 연구지원처 기초과학센터로 기구개편
1991
12월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도입.
09월 제 1캠퍼스 자연과학관 지하1층에 생물공학실험실 설치.
1987
09월 제 3차 OECF교육차관으로 제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PLC외 7종 7점 의 기기, 제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16종 35점의 기기 도입.
1986
07월 제 2캠퍼스 센터 설립으로 인하여 제1캠퍼스 센터 분석기기 일부를 제2 캠퍼스 기초과학센터 분석기기실로 이전 설치.
03월 기초과학센터 운영규정 개정.
제2캠퍼스 산업대학 실험실습동 2층에 기초과학센터(분소)설립.
운영과를 두어 제1,제2캥퍼스 기초과학센터를 관장.
부서장명을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서 "기초과학센터 소장"으로 변경.
1984
03월 제 6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임양재 교수 취임.
1983
08월 제 1차 OECF교육차관으로 도입된 FT-IR, NMR Spectrometer, AminoAcid Analysis System,Liquid Nitrogen Generator등 최신형 분석기기 도입, 설치.
1975
파이퍼흘 1층에서 자연과학관 지하1층 및 지상1층으로 이전되었으며 이때 "종합실험실습센터"에서 "기초과학센터"로 기구가 개편, 부서장명 도 "종합실험실습센터장"에서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으로 변경.
1970
02월 AID, PAC자금으로 최신형 분석기기를 도입, 교수연구 및 학생 실험실습에 활용.
01월 자연계학과 교수 연구활동 및 학생 실험실습 지원을 위하여 파이퍼홀 1층과 3층에 "종합실험실습센터"를 설립.
직원소개
생명공학대학 BT기기센터
성명 |
직위 |
연락처 |
업무 |
차창준 |
센터장 |
670-4840 |
BT기기센터장 |
김경근 |
팀 장 |
670-3015 |
총괄관리 |
김정인 |
주 임 |
670-3514 |
분석담당 |
서형석 |
직 원 |
670-3515 |
분석담당 |
생명환경연구원 원장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생명공학연구원 원장 방명걸입니다.
본 연구원은 바이오분야와 환경분야, 이 두 분야의 융합분야를 그 연구 중점분야로 외부지원사업 유치를 통한 생명환경분야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이러한 강화된 입지를 활용하여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학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21세기 생명환경분야의 연구를 선도하는 글로벌 연구원으로 성장하여 갈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명공학 연구 분야는 농업을 중심으로한 그린생명공학, 의학 중심의 레드생명공학, 산업생명공학이 중심인 화이트 생명공학, 해양연구를 중심으로 한 불루생명공학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본 연구원은 이 중에서 그린 바이오 분야와 화이트 바이오 분야에 역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원은 생명공학기술 (生命工學技術) 또는 바이오테크놀로지(영어: biotechnology, BT)는 생물체가 가지는 유전·번식·성장·자기제어 및 물질대사 등의 기능과 정보를 이용해 인류에게 필요한 물질과 서비스를 가공·생산하는 연구를 말한다.
정부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바이오산업 발전 방안'을 수립하여 생물산업 발전의 틀을 마련하였고, 기술 개발과 산업화를 양대 축으로 정부 관계 부처가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IT·NT 등과 함께 5대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지정해 G7 수준으로 집중 육성키로 한 바 있어 본 연구원의 설립 목적과 부합되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는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그 해결이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로 대두하여 사회, 경제, 문화에서부터 과학과 기술에 이르기까지 우리생활 모든 분야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환경분야의 연구 영역은 환경과학 및 공학은 물론, 환경경영, 환경정책, 환경정보화, 환경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 언론환경 분야에 이르기 까지 넓은 영역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원에서는 국가 주요 환경 정책에 부응하여 병들어가는 자연을 복원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인류사회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교수님들과 연구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설립목적 및 조직
중앙대학교 생명환경연구원(BET Research Institute in Chung-Ang University)은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내의 여러 전공에 걸쳐 생명공학(Biotechnology: BT) 및 관련 환경산업 분야(Environmental Technology: ET) 연구의 인적, 물적 자원을 집중시켜 BET(BT+ET)의 선도적 연구기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수행사업
- 생명?환경관련 과학, 광학, 경제 분야의 그 융합분야의 연구사업
- 국내 외 학문교류 지원사업
- 생명?환경관련 과학 , 공학 경제 분야와 그 융합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 연구발표회, 공개강좌, 및 학술회의 개최, 출판물 발간
- 국책사업 및 산학연 위탁연구 과제 수행과 기타 사업
구성원 [상임연구원]
소속학부(과)/전공 |
성명 |
최종학위 및 대학 |
세부전공 |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
장*백 |
박사 / 건국대 |
반추영양학 및 초지 |
방*걸 |
박사 / 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
내분비 및생식생리학 |
임*재 |
박사 / 서울대 |
동물행동 및생태학 |
류*용 |
박사 / 중앙대 |
동물생명공학 |
김*배 |
박사 / McGill University |
유가공학 및낙농미생물학 |
홍*호 |
박사 / 서울대 |
동물분자유전 및 육종 |
길*용 |
박사 /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
동물영양생리학 |
허*진 |
박사 / 경상대 |
식육가공학 및 생리활성 소재학 |
양*진 |
박사 / University of Idaho |
병원성미생물학 및 인수공통전염병학 |
김*모 |
박사 / 고려대학교 |
동물유전학 및 유전체학 |
생명자원공학부 (식물시스템과학전공) |
김*기 |
박사 / University of Maryland |
작물품질 및원예학 |
안*희 |
박사 / 홋카이도대학 |
조경생태학 |
박*승 |
박사 / Brodeaux I 대학 (프랑스) |
과수생리 및식물형태학 |
이*표 |
박사 / 고려대 |
식물유전육종 및분자육종학 |
이*현 |
박사 / 서울대 |
천연물성분 및기능성소재학 |
한*욱 |
박사 / 캘리포니아주립대 |
식물병리학 |
한*홍 |
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
식물화학 |
김*환 |
박사 서울대학교 |
식물분자생물학 |
이*욱 |
박사 Cornell University |
원예작물수확후생리학 |
식품공학부 (식품공학전공) |
이* |
박사 / 베를린 공대 |
식품생화학 |
박*환 |
박사 /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식품공학 |
김*성 |
박사 /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식품미생물학 |
하*도 |
박사 / Texas A&M University |
식품위생학 |
어*혁 |
박사 / 서울대 |
기능성식품학 |
이*언 |
박사 / 베를린 공대 |
식품가공학 |
이*진 |
박사 / Rutgers University |
식품유전체학 |
정*섭 |
박사 / Ohio State University |
식품화학위생 |
전*숙 |
박사 / 이화여대 |
식품독성학 |
이*현 |
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식품분석학 |
박*영 |
박사 Washington State University |
식품화학 |
김*기 |
박사 서울대학교 |
식품생물공학 |
식품공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이*영 |
박사 / Texas A & M University |
식품화학 및 기능성식품개발 |
이*희 |
박사 / University of Nebraska |
임상영양학 |
문*경 |
박사 / Ohio State University |
조리과학 |
최*순 |
박사 / 서울대 |
식품위생학 |
이*영 |
박사 / Washington State University |
식품 미생물학 |
문*권 |
박사 / Kyoto University |
분자영양세포생물학 |
시스템 생명공학과 |
김*연 |
박사 / University of California |
생화학 |
함*태 |
박사 / Cornell University |
생명공학 |
손*일 |
박사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생체유기화학 |
이*관 |
박사 / Rutgers. University |
생물화학공학 |
신*균 |
박사 / Ohio State University |
바이러스학 |
차*준 |
박사 / University of Cambridge |
미생물생명공학 |
정*희 |
박사 / University of Manchester |
병원미생물학 |
설*준 |
박사/Michigan State University |
미생물생태학/환경독성학 |
이*준 |
박사 KAIST |
시스탬대사공학 |
박*순 |
박사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
나노의약·생체영상 |
경제학부 |
진*정 |
박사 /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
식품경제, 선물경제 |
연구원 홈페이지 http://build.cau.ac.kr/betri 바로가기
마이크로바이오믹스 (Microbiomics) 연구소 소개
마이크로바이오믹스연구소는 융합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미생물학(Microbiology)" 과 "오믹스(Omics)"의 융합어인 "마이크로바이오믹스 (Microbiomics)"를 핵심 연구기반으로 하는 연구소이다.
이에 중앙대학교 내의 미생물 분야 (환경, 의약, 보건, 독성, 바이오에너지 관련)의 연구인력을 결집하여 관련 분야에 대한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추구에 이바지하는 선도적 연구기관이 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학과 수준에서의 연구활동을 뛰어 넘어 생명공학 대학 내의 관련 연구자들이 정기적으로 세미나 및 학술 심포지움을 개최함으로써 융합연구를 위한 상호 협력을 도모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정부 R&D 사업유치를 통한 연구집단 및 연구인력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부 목표
- 학내 관련 미생물학 (Microbiology) 및 오믹스기술 (Omics)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 연구를 선도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집단 및 연구인력을 육성한다.
- 관련분야의 목적지향형 바이오원천소재가 될 수 있는 미생물, 유전자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미래 국가 성장 동력 확보 및 지속가능한 환경추구에 기여한다.
- 정기적으로 연구원의 연구결과 발표 및 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원 간 상호 협력을 도모하며, 국내외 최고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심포지움을 개최한다.
연구소 연혁
2013. 12
2013 CAU-IOM 심포지움개최 (Recent Breakthrough in Microbiome Research)
2013. 11
생명공학대학 시스템생명공학과 설우준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13. 03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식물시스템전공 한상욱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12. 12
2012 CAU-IOM 심포지움개최 (Frontiers in Microbiology)
2012. 09
세계적 석학 Prof. Stanley Cohen (Standard Univ.) 초청 세미나
2011. 10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이강석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11. 05
2011 CAU-IOM 심포지움개최 (Symposium 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2010. 12
마이크로바이오믹스연구소(Institute of Microbiomics)로 연구소 명칭 변경
2010. 11
산업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신차균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09. 03
산업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정원희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09. 01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강현아, 전체옥 교수 상임연구원 위촉
2008. 12
부설연구소 설치 허가 및 "그린생명공학연구소" 출범 (산업과학대학 5인, 생활과학대학 2인, 자연과학대학 1인)
연구소 홈페이지 http://build.cau.ac.kr/microbio 바로가기
식품안전연구센터 센터장 인사말
Food Safety Research Center (FSRC), 중앙대학교 식품안전연구센터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소비자는 완벽에 가까운 식품안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불량식품을 4대악의 한 축으로 보고 그 어느 때보다 강한 근절정책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산업은 생산자 책임강화, 처벌 강화 등 과거보다 훨씬 엄격한 식품안전 관리정책에 대응하고자 선진 식품안전관리시스템 도입에 밤잠을 설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최근 사회적 이슈인 "불량식품 근절", "식품안전 확보"를 넘어 미래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먹을거리 안심"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과 연구의 씽크탱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우리 중앙대학교에서는 식품안전성 분야 특성화를 통해 교육과 연구경쟁력을 제고하여 대형 연구과제 수주 및 취업률을 극대화하고자 식품공학부 전임교수를 중심으로 "식품안전연구센터"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센터는 우리나라 식품안전 연구와 안전관리 정책 수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우리 중앙대학교의 대표 연구센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식품안전연구센터장,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교수 하상도
목표
중앙대학교 내 식품공학부 교수진을 중심으로 연구 경쟁력 부문 국내 1위의 "식품위생안전성" 분야 특성화 전문집단으로 자리매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불량식품 근절", "식품안전 확보"를 넘어 미래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먹을거리 안심"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과 기술 관련 씽크탱크 위치 구축
설립목적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전임교수를 중심으로 "식품안전연구센터"를 설립함으로써 "식품위생안전성" 분야 특성화를 통해 교육과 연구경쟁력을 제고하여
대형 연구과제 수주 및 취업률을 극대화하고자 함.
센터전략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연구 분야의 식품안전분야로의 "특성화"
국내외 식품산업, 출연연, 소비자단체 등과의 MOU체결을 통한 "Network" 강화
식약처, 농식품부 등 정부부처의 정책적 "Think Tank" 역할
대국민 식품안전 정보 제공 및 홍보 "커뮤니케이션의 중심" 역할
센터전략
- 기반연구 [Gene interaction 독성생리활성 영양반응, 대사체학적 연구]
- 노출량 편가연구 [위해평가]
- 위해제어연구 [Detoxication, Decontamination]
- Rix communication & Risk management
- 생성원인 및 체내에서의 이동
MOU 체결 산업체
- 한국쓰리엠(3M)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3 하나대투증권빌딩
- CJ식품안전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쌍림동 292 CJ빌딩5층
- 매일유업식품안전센터 : 서울시 강동구 암사동 506-8 진암빌딩1층
- 삼양식품연구소 : 인천시 서구 가좌동 285
- 야쿠르트중앙연구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418-12
- 오뚜기식품연구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405(평촌동160)
- 오리온식품연구소 : 서울시 용산구 문배동 30-10
- 대상식품연구소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 125-8
- (주)참맛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810번지 금강펜테리움IT타워
연구역량영역·중점연구분야
연구사업 더블 포트폴리오
안전 관리 및 소통 연구 분야
- 리스트 커뮤니케이션
- 위해 관리 기법연구
- 안정 정책연구
식품안전 기반 연구 분야
- 분자수준 해석 분야
- 분석/판별 기술 연구
- 분자수준 저감화 연구
영양 안전연구분야
- 영양역학적 연구, 영양유전체 / 대사체 연구, 조리가공 중 저감화
더블 포트폴리오
주식투자의 포트폴리오 개념을 도입한 개념으로 중점연구 분야를 식품안전 기반 연구, 영양안전 연구, 안전관리 및 소통 연구 분야로 분류하고, 각 투자분야별로 다시 포트폴리오 개념을 도입하여 세부연구분야를 도출함으로써, 연구의 효율성을 기하고자 함
조직도
참여교수 현황
소속학부(과)/전공 |
성명 |
직급 |
역할 |
비고 |
식품공학부 식품공학 |
이* |
교수 |
- |
위해성평가 (화학) |
김*성 |
교수 |
- |
위해성평가 (미생물) |
하*도 |
교수 |
센터장 |
위해정보교류 |
이*혁 |
교수 |
- |
위해성평가 (화학) |
이*언 |
교수 |
- |
위해성평가 (미생물) |
김*희 |
교수 |
- |
위해성평가 (화학) |
이*진 |
교수 |
- |
위해성평가 (화학) |
정*섭 |
교수 |
- |
위해관리 |
전*숙 |
교수 |
- |
위해성평가 (화학) |
식품공학부 식품영양 |
최*순 |
교수 |
- |
위해정보교류 |
이*영 |
교수 |
- |
위해성평가 (미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