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내용 |
---|---|
1. 새로운 미생물 제어기술 개발 |
새로운 형태(에어로졸, 가스 등)의 살균소독제 처리기술 개발 비가열처리법(고압, UV, 방사선 등)을 이용한 미생물 및 포자 억제 기체조절포장을 응용한 결합처리 기술개발 제어기술의 미생물 항균 메커니즘 진단 및 평가 제어기술의 미생물 항균 메커니즘 진단 및 평가 |
2. 병원성 미생물의 특성조사 |
미생물의 식품에로의 전이기작 및 내면화(internalization)연구 스트레스처리 시 미생물 특성변화 내성 유래 미생물의 특성 및 스트레스 내성기작 연구 병원성미생물의 생물막(biofilm) 형성특성 및 저항성 기작연구 |
3. 항균성 소재 개발 및 응용 |
식물 및 미생물 유래 항균소재 탐색 및 응용효과 조사 식품에 응용 시의 품질 평가 및 저장기간 평가 |
주요 프로젝트 |
병원성 세균의 세포손상도 진단기술 표준화 및 융합처리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6.06-2021.05 다소비 건조농산물 저장 중 품질특성 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01-2017.12 농산물 안전성 관리를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요인 및 오염현황 분석, 농림축산식품부, 2016.05-2018.12 여러 유래 황색포도상구균의 biofilm 형성 및 저항 기전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3.11~2016.10 다소비 횟감의 위생안전성 확보 및 소비촉진을 위한 식품위해인자 검출기술개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12~2016.12 유기농 신선채소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기술개발, 농촌진흥청, 2012.02~2015.12 병원성 세균의 세포표면특성과 환경적 표면에 biofilm 형성과의 상관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1.05~2014.04 기후변화대응 식품접객업소 위생관리기술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1~2014.12 첨단 융합기술을 이용한 신선 농식품 유해생물 제거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2009.06~2011.12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한 병원성 세균의 EPS 생성 및 biofilm 형성능과 저해요소에 대한 내성(기작)조사, 한국과학재단, 2009.05~2010.04 Enterobacter sakazakii의 스트레스 내성 기작 및 스트레스 내성균의 biofilm 형성능 연구, 학술진흥재단, 2008.11~2009.10 식중독균 시험법 개선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03~2007.11 자연항균물질을 이용한 Enterobacter sakazakii의 저해 및 저해 성분 연구, 학술진흥재단, 2006.07~2006.06 |
---|---|
인력 | 박사후연구원 1명, 박사과정 2명, 석사과정 2명 |
보유장비 | 멸균기(autoclave), Clean bench, 배양기, 광학현미경(카메라 포함), 형광현미경, 초음파기, spectro-photometer, ELISA, stomacher, 항온수조, 원심분리기, 건조기, Aw meter, pH meter, Thermal cycler, 전기영동장치, 크로마토그라피장치, SDS-PAGE장치, UV sterilizer, MAP포장기, 염소농도측정기, well plate incubator 등 |
산학협력희망분야 |
천연항균물질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식품의 안전 및 보존성 증진 다양한 식품의 위생적 생산 환경 시스템 개발 신선편이 농산물의 위생적 처리 방법 개발 외식급식관련 제품 및 환경의 위생 증진 방법 연구 여러 기능성 소재의 항균성 및 항산화성 연구 기능성 미생물을 활용한 기능성식품 및 발효식품 개발 식중독 미생물 검출 및 진단기술 개발 |